본문 바로가기
자본주의 썰BOX/[알쓸투자]썰

[부동산 스터디] 당신의 생존을 위해 꼭 해주고 싶은 이야기 - 식량편 (by. 흙마늘)

by 이야기NOW 2020. 8. 21.
728x170

최근 우리나라는 여름철 계속된 집중호우로 인해태양광 산지에서 산사태가 발생하고 강물이 범람하고 여러 도시가 물에 잠기는 등의 큰 홍수 피해를 겪었습니다만 그러나 이는 중국이 받고 있는 홍수 피해에 비해서는 사실 아무것도 아닌 수준이랍니다.

현재 중국은 2달이 넘게 지속되고 있는 동남부 지역 홍수로 한국 인구를 넘어서는 5천만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습니다.

 

중국의 최대 식량 생산지인 양쯔강 유역의 평야지대는 두달넘게 지속되는 폭우로 인해 수차례의 홍수피해를 입었고 지금도 여전히 지속적인 태풍으로 비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최근 언론이나 유튜브 등에서 회자되곤 하는 상류지역의 싼샤댐이 무너지든 안무너지든 여부와 상관없이 중국 동남부 지역의 평야지역은 사실상 꽤 긴 기간동안 식량 생산이 불가능해졌습니다.

그리고 최근 시진핑이 방문했던 길림성 등 동북삼성 지역도 옥수수 등의 식량 생산이 많은 중국 제2의 곡창지대이지만 지난주부터 폭우가 내리기 시작하여 호우가 집중되고 있어 이 지역도 홍수 피해에서 마냥 자유롭진 못할 것 같습니다.

작년 중국에서 이미 발생하여 엄청난 피해를 입히고 우리나라에 전파되기도 했던 돼지열병의 경우에는 중국 내 이미 엄청난 숫자의 돼지를 폐사시키게 했기 때문에 주요 축산물인 돼지 수가 많이 축소되어 있는 상황에서 이번 홍수로 축사가 무너지고 소, 돼지 등이 물에 익사하거나 떠내려가는 추가 피해 등이 지속되고 있어 중국인의 주요 식자재인 돼지고기의 피해도 점점 심각해지는 상황입니다.

 

한편, 각 지방정부가 보관하고 있는 비축미 등의 식량도 중앙부처의 식량 감사가 나온다는 소문만 돌면 보관창고가 이유없는 화재로 전소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데 그 이유가 식량이 적재되어 보여지는 표면부 이외에는 이미 부정부패로 관리자들이 식량을 많이 빼돌린터라 아예 불을 내 태워 버리는 촌극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이에 평소에도 식량 자급율이 80프로 정도인 중국의 경우 이번 홍수로 인해 가까운 미래에 극심한 식량난이 발생하여

14억 인구를 다 먹여살릴 수 없게 되는..

 

이미 북한이 시작한 고난의 행군을 곧 함께 시작하게 될 것으로 판단이 되네요.

이미 중국은 식당에서 음식 주문 시 한명의 식사를 덜 주문하는 N-1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벌이고 있는 게 현실이지요.

 

자 그럼 중국에 식량난이 발생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우선 중국 정부는 인접지역으로 부터 쌀, 밀, 옥수수, 돼지고기 등의 식량 수입량을 늘리려고 할 겁니다.

 

그런데 식량 수출국들이 수출을 거부하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이미 수많은 나라들이 코로나 사태 이후 식량 안보를 이유로 3~4월부터 식량 수출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특히, 베트남, 미얀마, 러시아 등 중국 인접 국가들이 말이죠.

우리나라의 경우만 어처구니없게도 충청도에서 중국으로의 쌀 수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만 중국의 식량난이 가시화되는 시점에는 식량 자급률이 바닥수준인 우리나라가 과연 식량 수출을 계속 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지요.

기사하나 읽어보시죠.

 

"먹거리 반출 막아라"...코로나가 방아쇠 당긴 '식량 민족주의'

"이제 ‘대공황(Great Depression)’보다 ‘대봉쇄(The Great Lockdown)’를 두려워해야 한다."국제통화기금(IMF)이 ..

biz.chosun.com

"먹거리 반출 막아라"...코로나가 방아쇠 당긴 '식량 민족주의'

"이제 ‘대공황(Great Depression)’보다 ‘대봉쇄(The Great Lockdown)’를 두려워해야 한다."국제통화기금(IMF)이 ..

[biz.chosun.com]

이미 코로나 이후 전세계는 식량 공급망 붕괴에 기인한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지역의 식량위기를 경고했었지요.

 

그런데 이 상황에서 홍수로 인한 중국의 식량난이 추가된다면? 그 여파가 어떨지 상상이 가시는지요?

중국이 인접국가로 부터의 식량 수입이 어려워 질 경우 어디서 식량을 수입해야 될까요?

 

바로 5 eyes 입니다.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5개 국가의 정보 연합을 일컫는 용어인데 곡물 자급률이 100프로가 넘는 전세계 1~3등 국가가 여기 포함되어 있으며 미국, 캐나다, 호주입니다.

뭔가 감이 잡히실까요?

앞으로는 홍수로 중국에 식량난이 오게됩니다.

중국의 수요는 폭증하는데 인접지역의 식량 공급은 제한적이고 수입 가능한 공급자인 5 eyes 멤버 미국, 캐나다, 호주는 중국과 코로나 사태로 극한 대립 중이죠. 중국이 어쩔 수 없이 수입을 해야할 처지인 것을 누구보다 잘아는 미국, 캐나다, 호주는 이미 5eyes 정보 연합체의 비밀 담합을 통하여 중국을 탈탈털 목적으로 엄청나게 비싼 가격을 받고 중국에게 식량을 수출할 것이고 러시아도 비싼 가격으로 일부 식량을 팔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국제 식량 가격은 폭등하게 될 것입니다.

국제 식량은 달러로만 거래되고 국제 식량가격이 폭등한다는 것은 중국같은 식량 수입국의 달러수요가 폭증한다는 말이죠.

 

중국은 이미 코로나 사태로 수출이 저조하여 달러가 말라있는 상황이므로 3월 1차 식량 파동 이후 홍콩달러와 페그제로 묶여있는 달러를 확보할 목적으로 홍콩보안법을 통과시킨 것이라는 시각도 있지요.

 

어쨌건 향후 2차 식량난이 발생하는 시점에 제가 미국이라면 홍콩 달러와의 통화 디커플링을 선언하여 국제금융기관에서 홍콩달러를 달러로 안바꿔주도록 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중국은 다른 자산을 팔아야 하구요 이때 중국이 달러 확보를 위해 판매할 수 있는 보유자산은 바로 암호화폐와 금 그리고 전세계 및 한국에 투자되어있는 주식과 부동산 입니다.

 

최근 금값과 암호화폐 가격이 상승세를 멈추고 우하향하기 시작했고 국내 증시도 2450을 넘었다가 며칠 사이 2275 이하로 내려왔는데... 그 이유가 이것과 연관되어 있을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식량 구매 목적의 달러확보를 위해 암호화폐와 금과 한국 주식을 시장에 내놓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동일한 일이 3월 1차 팬데믹 시기에 있었거든요.

 

경제가 박살 나는데 안전자산인 금과 대체화폐인 암호화폐가 폭락하는 이상 현상이 일어났었죠

중국의 식량난이 심화될수록 금과 암호화폐와 한국주식은 떨어지게 되어있지요.

 

금과 암호화폐와 한국주식은 원달러 환율과 높은 수준의 역의 상관관계에 있습니다.

 

중국의 금은 달러로 거래되고 암호화폐는 한국 시장에서 주로 거래되어 한화로 바뀐 후 달러로 환전되지요.

 

중국인이 매각한 한국 주식도 원화로 바뀐 후 달러로 환전 되구요

곧 중국인 소유의 한국 부동산도 매물로 하나둘씩 나올 수 있을 것이라 봅니다.

 

따라서 중국인 보유분이 많은 지역은 좀 가격 조정이 있을 수도 있다고 보는데 이 시기는 가을 이사철로 비싸게 받을 수 있을 때가 될 것 같으며 대금도 결국 달러로 환전되거나..

 

한국에 있는 중국인의 개별적인 식량 사재기 용으로 사용될 것 같습니다.

 

마스크 수출하듯 비싸게 동포들에게 수출하고도 남을 종족이지요

이렇게 점차 원달러 환율은 다시 폭등을 할 것으로 보이고 원달러 환율의 폭등은 수입물가를 올리게 되어 우리나라도 식량 부족 국가로써 큰 피해를 보게 되겠죠.

 

생활물가가 인플레이션을 넘어 스테그플레이션을 보여 줄 지도 모르겠네요

생존을 위해 다음과 같이 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쌀과 생수 2개월치, 유통기한과 공간이 허락하는 한 즉석밥이나 냉동 간편식, 햄, 통조림 등 가능한한 확보 유지 투자는 다음과 같이 분할하여 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금, 암호화폐, 국내 중국인 과다 보유지역 부동산 분할 매도.

달러 분할 매입 그냥 보유하거나 나스닥 식량 관련 ETF MOO 및 언택트 관련 IT 주 분할매입.

즉석밥, 간편식, 생수업체 등 식료품 가격 상승시 과거 크게 상승한 주식종목 발굴하여 분할 매입하기

 

그리고 홍수뒤에는 항상 전염병이 오기에..

 

작년에 돼지열병 테마주나 기본적인 백신주 분할매입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편은 석유 편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부동산 스터디] 당신의 생존을 위해 꼭 해주고 싶은 이야기 - 석유편 (by. 흙마늘)

지난번 식량편을 읽지 않으신 분들은 먼저 그 글을 읽으시길 바랍니다. 제 글은 제가 생각하는 세계관의 큰 그림을 토대로시계열이나 인과관계로 연결되게 작성되기 때문에 이전글을 읽으셔야

ssulbox.tistory.com

 

[출처] 당신의 생존을 위해 꼭 해주고 싶은 이야기 - 식량편 (부동산 스터디') | 작성자 흙마늘

그리드형

댓글